기시 : 흉골 {sternum) , 쇄골 (clavicle)
정지: 상완골 (humerus)의 대결절(great tubercle)
기능: 굴곡(flexion) 내회전(internal rotation) 어깨하강(shoulder depression), 수평내전(horizontal AD), 내전(AD)
안녕하세요 강코치 입니다^^
첫 포스팅은 대흉근의 기능해부학 입니다.
이 근육이 어떤 기능을 하며 문제가 생겼을때 어떻게 되는지 전반적으로 알아보도록 할게요
수평내전 : 팔을 어깨높이까지 들고 몸 안쪽으로 수평이동 시키는 동작
내전: 옆으로 벌린 팔을 모아주는 동작
하강:어깨를 내려주는 동작
굴곡: 만세하는 동작
내회전: 팔을 안쪽으로 돌리는 동작
이렇게 대흉근은 여러가지 움직임에 관여하고 뭉치거나 근육의 길이가 짧아진 경우 또는 근력이 약해질 경우 여러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근육입니다.^^
근육의 길이는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는데 다시 말해 길어지거나 짧아진 형태를 취할 수 있습니다.
이 대흉근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할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 몇가지를 알려드리면,
1. 굽은등 (체형 변형)
2. 굽은 어깨 (체형 변형)
3. 어깨 충돌 증후군 (부상)
4. 회전근개 파열 및 손상
5. 등을 긁기 위해 팔을 뒤로 보낼때 통증 또는 움직일수 있는 범위가 제한
6. 협심증과 흡사한 증상 발생 (가슴의 답답함) -일측성 증상
위와 같은 부상과 자세변형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근육을 더 봐야겠지만 이번 포스팅은 대흉근의 스트레칭과 운동에 포커스를 맞춰 써 나가겠습니다.
평소 나의 자세가 이러하다면!!
현재 자세가 저러하지 않더라도 컴퓨터를 장시간 하시는 분들이나 운전 또는 공부를 장시간 하시는 분들은 스트레칭을 꼭 주기적으로 해서 자세가 망가지는 것을 예방하시기 바랍니다!^^
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을 이완시켰다면 이번에는 운동을 통해 강화하는 동작을 알려 드리겠습니다^^
대흉근이 약해지면 팔저림, 오십견, 어깨결림 등 여러가지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스트레칭 후 운동으로 강화를 시켜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.
대흉근을 잘 관리하셔서 바른 체형과 강인한 근력을 얻으시길 바랍니다!^^
체형별 교정전략에 대한 포스팅도 준비 중이오니 빠른 시일내에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.
건강한 삶을 위한 여정은 계속됩니다 - 강코치
'건강정보 [ Health information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무지외반증 교정기 추천 및 원인 (0) | 2020.03.07 |
---|---|
왼쪽 갈비뼈 아래 통증 원인 (0) | 2020.02.03 |
대흉근 - pectoralis major (0) | 2019.12.10 |
삼각근 [deltoid] - 어깨 충돌 증후군, 회전근개 손상 (0) | 2019.09.16 |
광배근 [Latissimus dorsi] (0) | 2019.09.07 |
댓글